728x90
반응형
SMALL
전국 지자체에서 65세 이상 어르신들을 위한 버스 무료 정책이 점차 확대되고 있습니다. 지역마다 대상 연령, 시행 시기, 신청 방법이 다른데요, 2025년 기준 최신 정보를 바탕으로 지역별 버스 무료 정책을 상세히 정리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지역별 버스 무료 정책 상세 안내
충청북도
충주시
- 대상: 65세 이상
- 시행 시기: 2026년 1월부터
- 내용: 시내버스 무료 이용 가능.
- 신청 방법: 주민센터에서 전용 교통카드 신청(2025년 하반기부터 접수 예정).
- 특이사항: 충주시는 어르신 이동 편의를 위해 전용 카드 발급 절차를 간소화할 계획.
강원도
원주시
- 대상: 70세 이상
- 시행 시기: 2025년 10월부터
- 내용: 시내버스 무료 이용.
- 신청 방법: 2025년 6월 16일부터 주민센터에서 전용 교통카드 신청 가능.
- 특이사항: 원주시는 카드 신청 시기를 미리 홍보해 혼잡을 줄이고자 노력 중.
춘천시, 강릉시, 삼척시, 홍천군, 속초시, 인제군, 양구군, 정선군, 철원군, 횡성군
- 대상: 65세 이상
- 시행 시기: 이미 시행 중(지자체별 상이)
- 내용: 시내버스 무료 이용.
- 신청 방법: 각 지자체 주민센터 또는 지정 은행(농협 등)에서 교통카드 발급.
- 특이사항: 평창군은 천 원 버스 운영, 교통약자는 택시비 지원(기본료 1,100원부터).
경상북도
경북 전체
- 대상: 70세 이상
- 시행 시기: 2025년 7월부터(일부 지역 이미 시행 중)
- 내용: 시내버스 무료 이용, 전용 교통카드 사용.
- 신청 방법: 2025년 6월부터 주민센터에서 교통카드 접수.
- 특이사항: 청송, 봉화, 문경, 의성, 울진은 이미 무료 정책 시행 중. 상주시는 2025년 하반기 시행 예정.
대구광역시
- 대상: 70세 이상
- 시행 시기: 이미 시행 중
- 내용: 시내버스 및 지하철 무료, 대경선(대구권 광역철도)도 무료 이용 가능.
- 신청 방법: 주민센터 또는 신한은행에서 교통카드 발급(67세 이상은 신한은행, 73세 이상은 주민센터).
반응형
울산광역시
울산 전체
- 대상: 75세 이상
- 시행 시기: 2025년 9월부터
- 내용: 시내버스 무료 이용.
- 신청 방법: 2025년 6월 9일부터 주민센터에서 전용 버스카드 신청, 7월 1일부터 사용 가능.
울주군
- 대상: 65세 이상
- 시행 시기: 2025년 9월부터
- 내용: 시내버스 무료 이용, 울산광역시보다 지원 연령 낮음.
- 특이사항: 7~12세 아동 대상 문화활동비 지원도 병행.
경상남도
- 대상: 75세 이상
- 시행 시기: 이미 시행 중
- 내용: 시내버스 무료, 경남패스(K-패스 연계)로 50% 요금 환급 추가 제공.
- 신청 방법: 주민센터 방문 또는 경남패스 앱으로 신청.
- 특이사항: K-패스 사용 시 월 15회 이상 이용하면 전국 교통비 20% 환급 추가 가능.
인천광역시
- 대상: 70세 이상
- 시행 시기: 이미 시행 중
- 내용: 시내버스 무료, 인천 I-패스로 무제한 할인. 65세 이상은 추가 환급 혜택.
- 신청 방법: 67세 이상은 신한은행, 73세 이상은 주민센터에서 교통카드 발급.
- 특이사항: 인천은 K-패스와 연계해 환급 혜택 강화.
728x90
전라남도
순천시
- 대상: 75세 이상
- 시행 시기: 2025년 10월부터
- 내용: 시내버스 무료 이용.
- 신청 방법: 주민센터에서 전용 교통카드 신청(2025년 9월부터 접수 예정).
경주시
- 대상: 70세 이상
- 시행 시기: 2025년 2월부터
- 내용: 무료 택시비 지원(연간 16만 원, 1회 결제 한도 1만 2,000원).
- 특이사항: 버스 외 택시 지원으로 차별화.
서울특별시
- 대상: 65세 이상
- 시행 시기: 이미 시행 중
- 내용: 지하철 무료, 일부 자치구에서 버스비 지원(예: 중구 월 4만 원 교통비 지원).
- 신청 방법: 주민센터에서 교통카드 발급.
- 특이사항: 오세훈 시장은 버스 무료 정책에 대해 신중한 입장이나 할인 정책 검토 중. 서울 중구는 버스·택시비 지원 금액 2025년 확대.
- 성동구: 2025년 성공버스(공공시설 무료 셔틀버스) 운영 지속.
제주도
- 대상: 65세 이상, 13세 미만 어린이, 중·고교생(청소년)
- 시행 시기: 2025년 8월부터(청소년 포함 확대)
- 내용: 시내버스 무료, 교통복지카드 사용.
- 신청 방법: 2025년 7월까지 주민센터에서 교통복지카드 발급.
- 특이사항: 도민 36%가 무료화 혜택 대상, 청소년 포함으로 지원 확대.
SMALL
추가 혜택 및 유의사항
K-패스 연계
- 전국 65세 이상 어르신은 K-패스 카드로 월 15회 이상 이용 시 교통비 20% 환급.
- 경남, 인천 등은 지역 패스로 추가 혜택 제공.
교통카드 발급
- 대부분 지자체는 주민센터나 지정 은행(농협, 신한은행 등)에서 발급.
- 모바일 신청 확대를 원하는 목소리 증가.
지역별 차이
- 지하철 무료 연령은 서울·부산·대전·광주(65세 이상), 대구(70세 이상) 등 다름.
- 연령 상향 조정 가능성 주목.
교통약자 지원
- 강원도는 교통약자 대상 택시비 지원(기본료 1,100원부터)
- 울산은 아동문화활동비 지원 병행.
자주 묻는 질문
Q: 내 지역 혜택이 궁금해요?
- 거주지의 관할 주민센터에 문의하시면 혜택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Q: 교통카드 발급이 불편해요?
- 많은 어르신이 은행 방문의 불편함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 일부 지자체는 주민센터에서 발급을 지원하며, 모바일 신청 도입을 검토 중입니다.
2025년 전국 지자체의 버스 무료 정책은 어르신들의 이동 편의를 크게 높이고 있습니다. 지역별로 연령과 시행 시기가 다르니, 꼭 내 지역의 혜택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주민센터 방문이나 K-패스 앱으로 간편하게 신청하고, 경제적 부담 없이 자유롭게 이동해 보세요.
728x90
반응형
LIST